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9

자유게시판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9

0 1,03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9 

미국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선정된 ‘K팝 댄스’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487dc108360f346177acd5a029ca42e7_1675243289_9407.jpg

정치권이나 사회가 하지 못하는 엄청난 연대를 보여주고 있는 BTS와 BTS의 팬덤 ‘아미’(ARMY)는 변용과 융합의 새로운 ‘문화 현상’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러한 BTS에서 비롯된 창조력의 ‘현상’은 ‘한국인의 밈’을 창조적 모티브로 삼아왔다. 그러한 창조적 모티브로써 문화를 창조하고 소비하는 것은 단순히 멋진 물건을 구매 하는 것 이상이다. 그것은 지역, 국가, 인종 간 신뢰의 문제일 것이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다른 문화를 존중하고 더 좋은 세계를 만들 수 있을 지의 차원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방식으로 뿌리 내리고 일상화한 BTS의 창조력은 인류 보편적 가치와 고민을 K팝(댄스)에 반영하고 있다. 그리하여 폭넓은 감동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변용과 융합을 거듭하면서 ‘BTS와 아미의 현상’을 만들어 나갔고, 그렇게 맺은 창조의 결실들이 세계인의 심금을 울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창조의 결실로 보여지는 K팝과 관련한 의미 있는 낭보가 며칠 전 보도되어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487dc108360f346177acd5a029ca42e7_1675243393_0319.jpg 


2023년 1월 27일 헤럴드경제 고승희 기자의 보도에 의하면, ‘K팝 댄스’가 미국 대학에 교과목으로 개설된다. K팝 댄스가 미국 글로벌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개설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7일 학계 등에 따르면,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은 오는 가을학기부터 ‘K팝 댄스’를 무용과 이론, 실기 정규 교과목으로 개설한다. 3학년 학생부터 들을 수 있는 3학점짜리 무용 전공 필수과목이자 인문학 교양수업(General EducationHumanities) 중 하나로 제공한다.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 측은 "‘K팝 댄스’ 과목은 다양성(Diversity requirement)을 충족시키는 교양과목으로서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의 모든 학생이 졸업 전 필수과목으로 들어야 하는 인문학 과목의 옵션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북미 대학의 무용과 역사상 처음으로 개설된 ‘K팝 댄스’ 수업은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대학의 오주연 교수가 맡는다. 오주연 교수는 처음으로 K팝 댄스를 이론적으 로 분석하고 정립하였다. 그리고 지난 2015년 K팝 댄스로 박사 논문을 썼다. 그리고 미국 텍사스 오스틴 주립대학교에서 퍼포먼스 스터디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오 교수는 북미 최초의 한국인 무용이론 종신교수이다. 


오 교수에 따르면, 현재 K팝 댄스 동아리는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일반화되어 있고, 중 · 고등학교에서는 방과 후 수업에서 교과목으로 제공될 만큼 대중화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그동안 K팝 댄스가 커버댄스나 플래시몹 등 팬덤의 영역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교육 영역으로의 장르로 발전하여 그 위상이 달라졌다고 말한다. 특히 K팝 댄스가 단지 엔터테인먼트의 산업적 측면을 넘어 무용사의 일부분으로 이해하는 교육적 차원의 중요한 장르로 인식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오 교 수는 "K팝 댄스에는 현대무용을 비롯해 한국무용, 발레, 보깅(voguing) 등 굉장히 다양한 춤의 뿌리가 담겨 있다”고 지적하며, "K팝 댄스가 교과과정으로 편입된 것은 무용사와 춤을 학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K팝 댄스’가 필수 장르로 인식되고 있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수업의 내용은 K팝 댄스를 집대성한 오 교수의 학술 저서인 『K팝 댄스: 소셜 미디어에서 자신을 팬더밍하는 방법(K-pop Dance: Fandoming Yourself on Social Media)』을 기본 교과서로 삼고, 16주간 K팝 댄스의 역사와 진화, 팬덤, 그리고 사회문화 및 정치적 의미를 수업 중에 다룰 예정이다. 학생들에겐 ‘K팝 댄스 챌린지’와 같은 과제도 주어진다. 


2023년 7월에는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 서머스쿨에서도 ‘K팝 댄스’ 수업이 개설될 예정이다. 이 수업 역시 오 교수가 맡는다. 7월 10~23일 2주간 수업이 진행될 예정인데 미국과 한국의 저명한 K팝 안무가를 초청, K팝 안무를 직접 배우고 학기 말에 공연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된다. 수업에서는 K팝 댄스가 노래에서 시작된 장르이기 때문에 ‘노래별 안무 학습’에 집중한다. 


오 교수는 "발레 수업이 동작의 테크닉 난이도에 따라 진행된다면, K팝 댄스 수업 은 상대적으로 쉬운 아이돌 댄스에서 고난도 아이돌 댄스로 넘어가며 그 레벨에 맞춰 단계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 교수는 "K팝 댄스의 특이점은 공통된 움직임이 많고 학생 다수가 K팝 안무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라며 "K팝 댄스에선 모방이 중요한 가치이자 교육의 방법론으로, K-팝 댄스의 특징을 수업에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글로벌 대학에서 전공생을 위한 필수과목, 그리고 교양과목으로 ‘K팝 댄스’가 선정되었다는 것은 K팝 댄스가 무용사에서도 중요한 학문적 갈래로 인식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특히 서구와 백인 중심의 순수예술 및 대중 예술은 그동안 아시아권으로 그 영역을 확장시켜왔는데, ‘K팝 댄스’의 교과목 개설은 기존의 대중문화 및 인종에 대한 편견을 뛰어넘는 사례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이렇듯이 K팝 댄스가 서구 · 백인 중심의 무용사에서 인정을 받았다는 것은 학문적 의미는 물론, K콘텐츠가 ‘반짝 유행’이 아닌 글로벌 문화의 메인 스트림(Main stream;주류문화)으로서 자리매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초대 글] 알시오콰이어 창단 15주년 기념, 정기 연주회

댓글 0 | 조회 236
유난히도 길고 더웠던 여름을 보내고 만추의 길목에서 15기 동기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1977년 육군소위로 임관했던 ROTC 15기 동기들이 2009년 가을 합정동에서 처음 모여 과… 더보기
Hot

인기 김병년 동기의 "내가 사는 캐나다 트렌트에서는" 열린북스

댓글 0 | 조회 202
크게보기‘내가 사는 캐나다 트렌튼에서는’ 책표지. 열린북스 제공상사맨으로 일하다 캐나다로 이민 가 24년간 살며 느낀 단상과 애환을 담은 ‘내가 사는 캐나다 트렌튼에서는’(김병년 … 더보기
Hot

인기 TV드라마 '정년이' - 10/12 [토] 밤 9:20 첫 방송(정인수 동기 여식 감독 작품)

댓글 0 | 조회 227
정지인 PD는 정인수(서울대ROTC15기) 따님으로 이번 동기의 날 행사에 아버지의 홍보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많은 시청 바랍니다.TV드라마 '정년이' -10/12 [토] 밤 9… 더보기
Hot

인기 [대한민국ROTC중앙회] 중앙회보 307호 발간

댓글 0 | 조회 560
웹진 보러가기(https://rotcmuseum.or.kr/pdfjs/web/viewer.html?file=rotc0307.pdf)지난 회보 보러가기(www.rotc.or.kr)▶…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1

댓글 0 | 조회 652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1‘시행령’의 핵심은 2030 국악인들에게 많은 지원 이뤄지게 하는 것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지난 달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70

댓글 0 | 조회 1,10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0“창조적 상상력을 통해 자아를 깨닫는 예술교육이어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국악진흥법’은 제9조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9

댓글 0 | 조회 76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9'국악진흥법'은 ‘창조적 상상력’의 행정이 뒷받침되어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한류 음악의 원형자산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8

댓글 0 | 조회 903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8- '고독감과 사회적 고립'을 ‘문화’로써 해결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지금과 같이 정치가 어지럽고 경…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7

댓글 0 | 조회 1,00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7“문화로 국민들에게 희망과 위로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취임을 진심으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6

댓글 0 | 조회 887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6한류 확산이 문화 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3)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한국은행은 지난 9…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5

댓글 0 | 조회 898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5한류확산이 문화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바야흐로 한류의 세상인…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4

댓글 0 | 조회 96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4한류확산이 문화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2023년 7월 25일…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3

댓글 0 | 조회 96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3문화 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에서 새 길을 찾다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일제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댓글 0 | 조회 1,042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문화 융성의 길 - ‘온리 원(only one)’의 사고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요즈음 대통령 관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1

댓글 0 | 조회 96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1“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 BTS와 아미 현상(1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브라질에서는 2019년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

댓글 0 | 조회 1,075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 BTS와 아미 현상(1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이번 회에서는 데…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

댓글 0 | 조회 1,00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BTS와 같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왔다’ - BTS와 아미 현상(10)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1…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

댓글 0 | 조회 1,05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다양한 정체성에 대한 포용과 사랑 - BTS와 아미 현상(9)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 더보기
Hot

인기 삽십오일 간의 서유럽 자동차 여행 - 문근찬, 이명희 지음

댓글 0 | 조회 1,409
이번에 다녀온 '서유럽 자동차 여행'을 작은 책자로 만들어 봤습니다.해외 자동차여행에 관심있는 동기들에게 약간 도움이 될 내용이오니 일독 바랍니다. 문근찬 ^^https://www…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

댓글 0 | 조회 1,164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BTS의 음악이 투쟁가처럼 등장 - BTS와 아미 현상(8)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더보기
카테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