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7선생님, 방일영국악상 수상 축하드립니다. 그런데...

동기관련 기사

홈 > 사진영상 > 동기관련 기사
동기관련 기사
 ※ 이용 안내
 - 이곳은 ROTC15기 동기들의 신문 잡지 기사 및 개인 블로그 글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저장하는 곳입니다.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7<br>선생님, 방일영국악상 수상 축하드립니다. 그런데...

그 시절, 앞길이 막막했던 나의 진학과 삶의 방향에 대해 어느 누구든 붙들고 묻고 싶었다. 스승의 실종 시대같이 느껴져 앞이 보이지 않았다. 안개 같은 세상으로 보여져 저 멀리 비추는 등대 같은 간절한 학업에 대한 지도가 필요했다. 필자의 고등학교 입학 초기에 관한 추억의 한 단상(斷想)이다. 이영희 선생님의 방일영국악상 수상을 축하드리며 한 말씀 드리고자 한다.

 

존경하는 이영희 선생님!

제31회 방일영국악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선생님을 처음 뵌 것은 1970년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이지요. 그 때 학교는 비원(지금의 창덕궁) 앞 운니동에 있었습니다. 저희 1학년 교실 맞은편에는 예능과 교무실이 있었는데 거기에 계신 젊은 이영희 선생님을 비롯해서 인간문화재이신 신쾌동 선생님, 김윤덕 선생님, 지영희 선생님, 김소희 선생님 등의 모습을 매일 뵈면서 국악예고의 시절을 보냈습니다.

 

언론 기사에 의하면, 선생님은 항구의 도시 군산에서 태어나서 어릴 때부터 승무에 매료되고 풍물패의 풍장 소리에 홀리다시피 국악에 푹 빠졌다고 했지요. 군산 여중학교에 다니실 때는 친구들과 함께 승무와 살풀이를 배우고, 이어서 가야금과 단소, 양금을 배우신 후 가야금 산조를 익혔다고 하셨습니다. 그 때만 해도 일인다기(一人多技)를 익히는 것은 자연스런 현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영희.7.jpg 국가무형유산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이영희 보유자

 

선생님은 지금까지 국악을 전승하고 보급하는 교육에 온 힘을 쏟고 계십니다. 그 이유는 선생님 자신이 국악과가 아닌 일반대학을 거쳐 어렵게 공부를 하신 이유 때문이라고 말씀하셨죠. 참으로 대단한 열정이셨습니다. 선생님께서 대학에 진학하실 무렵의 1958년도에는 대학에 국악과가 없었지요, 최초로 서울대 국악과가 1959년도에 설립되었으니까요.

 

그러던 1958년에 선생님은 이화여대 사회학과에 진학하셨고, 가야금을 공부하고 싶어서 수소문한 끝에 국립국악원 사범이던 김윤덕 명인을 직접 찾아가셔서 가야금 산조와 거문고를 사사하셨습니다. 그리고 한일섭 명인에게 아쟁도 익히시면서 결국 1961년 대학 4학년 때 중앙방송국(전,KBS) 국악경연대회에서 아쟁을 연주하여 기악부 1등(당시 공보부장관상)을 수상하는 기염을 토해내셨습니다. 그리고 1991년 스승이신 김윤덕 명인에 이어 가야금 산조와 병창 무형유산 보유자(인간문화재)가 되셨습니다. 참으로 입지전적(立志傳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선생님은 2000년부터 12년간 (사)한국국악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셨습니다. 12년이면 세 번을 연임하셨네요. 그동안 해외 입양아를 위한 국악교육,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국악 강사를 파견(강사풀제)하는 국악교육 등에도 기여하셨습니다. 이렇듯 선생님은 국악계에 기여한 공로가 인정되어 한국예총 예술문화상 대상(1999)과 서울시 문화상(2006)을 받으셨습니다.

 

선생님은 국악과 무용 등 전통 예술을 한자리에서 교육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점을 걱정하시며 200억 상당의 개인 토지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에 기부하셨습니다.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나이가 많아 인생을 마무리하고 정리할 시기가 왔다고 생각했다”고 말하면서 "전수교육관이 준공되면 그 안에 거처할 공간 몇 평만 마련해달라고 부탁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선생님께서는 "평생을 미혼으로 살며 휴지 한 장 허투루 안 쓰고, 자가용 대신 버스 타고, 난방 대신 전기장판으로 버티며 모은 재산”이었지만 "쓸 곳에 썼으니 하나도 아깝지 않다”라고 스스로 대견해 하셨습니다.

 

참으로 국악계의 스승으로서 사표를 제시하신 것으로 생각합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운이 좋아 땅값도 올랐겠지만, 선생님의 삶과 전공에 대한 열정, 그리고 제자 사랑에 대한 지극함의 발로라고 생각합니다. 저절로 존경심이 우러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선생님, 저는 선생님께 꼭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저는 선생님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1도 없지만 고등학교 1학년 시절부터 존경스런 마음으로 지켜봐 왔습니다. 제가 대학을 갈망하고 있을 때 선생님은 이미 명문대학인 이화여대를 졸업하시고 국악 교사를 하셨던 저의 롤 모델이었습니다. 그렇지만 예능과 사무실에서 여학생을 장고채 같은 것으로 여러차례 체벌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그 때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 시절은 그렇게 교육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던 시절이기도 하였지요. 그 체벌을 받은 학생은 국악을 계속하고 있는지 확인은 안 되고 있습니다. 물론 어느 학생은 대금을 전공하고 있었는데 손가락이 짧으니 피리가 좋겠다고 지도하시어 지금은 피리의 명인이 되신 분도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선생님께서 주도하시어 '(사) 한국국악진흥예술연합'이라는 단체를 만드신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국악 관련한 단체가 하나라도 더 만들어져 국악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면 백번 찬성할 일이지요. 그러나 ‘사단법인 한국국악협회’의 이사장이 문제가 있다라는 이유로 국악협회 전체 회원을 무시하고 새로운 단체를 만든다는 것은 국악계를 갈라치기 하는 것이라는 평가입니다. 뿐만 아니라, ‘국악협회의 정관’을 거의 복사하다시피 하면서 국악협회처럼 전국에 지회와 지부를 둔다고 하는데 맞는지요? (사)한국국악협회 이사장을 12년 동안 역임하신 분의 행동이라기에는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처사라고 대다수 국악인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국악진흥예술연합이 주최하는 ‘국악진흥법’ 관련 학술토론회에서 주최 측 발제자가 직접 ‘K-국악’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국악인들의 자존심에 생채기를 냈습니다. ‘국악’이라는 용어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전통음악의 정체성(正體性)을 나타내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국악진흥법’에도 ‘국악’이 정의되어 있듯이 ‘K-국악’이라는 용어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따라서 ‘K-국악’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만부당천부당(萬不當千不當)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난방 대신 전기장판으로 버티며 모은 전 재산을 국가에 기부하셨습니다. 국악인들은 선생님 같은 분이 많기를 학수고대하고 있습니다. 물질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위로와 격려를 받을 수 있는 정신적인 스승이 나타나기를 오매불망하고 있습니다. 어렵게 생활하지만 전통음악을 발전시키고 한류 확산에 기여한다는 자존심으로 대다수의 국악인들은 노력하고 있습니다.

 

바라옵건대 선생님, ‘K-국악’이라는 용어 사용을 나무라주시고 국악계를 화합하고 통합할 수 있는 길로 인도하여 주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그러면서 국악계 동량(棟樑)이 될 인재 양성에도 힘써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방일영국악상 수상’의 의미도 거기에 있지 않을까요.

 

존경하는 선생님! ‘제31회 방일영국악상 수상’을 다시한번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아무쪼록 만수무강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외부인사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0 Comments
New

새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 JTBC

| 댓글 0 | 조회 2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JTBC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5 <br>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 댓글 0 | 조회 32
우리는 현대를 살면서 수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해 낸다. 그런데 혹자는 그것을 하늘에서 어느 날 번쩍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 많은 아이디어들은 우리 조상님들이 물려주신 토양에서 나온다. 그 토양인 즉, 가난이란 결핍에서 아이디어들은 발현되는 것이다. 가장 현대적인 것이 되려면 가장 오래된 정원이 필요하다. 아주 오래 묵은 정원일수록…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4 <br>AI가 만든 국악 ‘보허자’

| 댓글 0 | 조회 47
별들이 하늘에 의미 없이 흩어져 있는 것 같지만 의미 있는 형상들을 골라서 연결하면 북두칠성이 된다. 하나의 형상이 생기는 것이다. 형상은 물질이 아니다. 우리가 집을 지으려면 그 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재료들을 고른다. 그 재료들이 모여서 집을 완성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재료는 의미 있는 정보들을 말한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에 천문학적으로 쌓인 빅데이터에…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3 <br>AI가 작곡한 베토벤 교향곡 10번

| 댓글 0 | 조회 66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들이 높다. AI 시대에는 빅데이터가 생명이라고 한다. 우리는 AI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제공하는 정보가 더 많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서 물건을 주문한다든지 애플리케이션에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검색 데이터, 소비 관련 데이터들이 …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65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 MSN

| 댓글 0 | 조회 71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MSN
New

새글 박종인의 "상해 임정 요인의 국적 감정"를 읽고

| 댓글 0 | 조회 76
조선일보 3월 15일자 박종인의 역사칼럼 [박종인 기자의 ‘흔적’]에는 "조국을 위해서 그들은 중국 국적을 택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지난 해 8월 8일 필자의 독립기념관장 취임에 맞춰 이종찬 광복회장이 제기한 에 대한 논쟁이 일어난지 7개월 만에, 그리고 올해 2월 14일 김문수 장관의 논란이 일어난 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정리한 글이었다. 독자들에게 정…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82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네이트 뉴스

| 댓글 0 | 조회 83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네이트 뉴스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2 <br>아! 다 생각이 있었구나

| 댓글 0 | 조회 105
 지난 3월 11일 자의 칼럼에 ‘3대가 행복한 광주시’의 플래카드와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했다. 길거리마다 정치적 구호가 난무하여 어지럽던 차에 신선한 문구라고 칭찬했다. 그러면서 3대가 행복한 도시가 되려면 100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할 테니 속성으로라도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서 행복한 도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요즈음 지구상에서 행복지수를… 더보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1 <br>무위정치 그리고 한국음악

| 댓글 0 | 조회 90
오늘은 다소 생뚱맞은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국악 이야기를 하다가 느닷없이 정치 이야기를 한다니 그렇게 보일 것이다. 어쩌면 논리가 없는 이상한 이야기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옛날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데 이해하는 분이 많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옛날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현실 정치에 대한 이야기는 더 말하기 어렵다. 현실정치에 대한 노골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0<BR> ‘경상남도 국악진흥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 댓글 0 | 조회 153
잘 가꾸어진 오래된 정원에 다색다양한 꽃들이 만발하고 있다. 그 꽃들은 다시 갖가지 화병이나 화분에 포장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있다. 오히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인기가 더 많다. 그 꽃의 이름은 K-컬처이다.   K-컬처의 영향으로 북미에서는 한글을 배우는 인구가 70%나 증가했다고 한다. 반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인구는 미국에서 거의 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19<br>오래된 정원을 가꾸는 이들 – 세종실록 악보를 오선보로

| 댓글 0 | 조회 172
그동안 오래된 정원을 가꾸어 온 이들은 많았다. 순수 국악이론 또는 작곡과 연주 등의 많은 업적들은 오래된 정원의 창고에 쌓여져 거름으로 쓰여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오래된 정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새 생명이 드러나도록 거름을 주며 새로운 창조의 곡괭이질을 해야 할 때이다.   2010년, 2,000여 명이 모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개막공연… 더보기
Hot

인기 제106주년 3.1절 독립기념관장 기념사

| 댓글 0 | 조회 149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 후손과 내외 귀빈 여러분, ‘3.1운동 제106주년 기념식’을 이곳 독립기념관에서 갖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더욱이 독립기념관이 위치한 천안은 우리 모두의 가슴에 언제나 3.1절을 상징하는 ‘윤관순 누나’가 만세를 부른 아우내 장터가 자리한 곳이어서 그날의 감동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더보기
Hot

인기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 JTBC

| 댓글 0 | 조회 134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JTBC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96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7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MSN

| 댓글 0 | 조회 15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MS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