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6펄벅 여사와 아리랑

동기관련 기사

홈 > 사진영상 > 동기관련 기사
동기관련 기사
 ※ 이용 안내
 - 이곳은 ROTC15기 동기들의 신문 잡지 기사 및 개인 블로그 글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저장하는 곳입니다.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6<br>펄벅 여사와 아리랑

펄벅 여사가 한국에 와서 거문고 소리를 듣고는 "저 소리는 악기 소리가 아니라 사람이 울음을 참으며 흐느끼는 소리이다”라고 말했다. 우리 민족은 우리의 한을 전통음악을 통해 풀어왔다. 그러나 그 맺힌 한을 온전히 풀지도 못하고 가슴 한 쪽에 켜켜이 품어왔다. 쌓인 한을 모두 풀어버리는 것보다 그것을 품을 때 비로소 생각과 창조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생긴 노래가 민요이고 그 중 대표적인 노래가 ‘아리랑’이다.

 

소설 <대지>의 작가로 알려진 펄벅(Pearl S. Buck 1892.6.26 ~ 1973.3.6.) 여사는 한국을 처음 방문하던 1960년 11월 경 경주를 여행하던 중, 소달구지에 볏단을 싣고 지게에도 볏단을 짊어지고 걸어 가던 농부를 보고는 이상하다고 여기면서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짐까지 지고 가느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농부는 ”에이 어떻게 타고 가나요,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눠지고 가야죠,"라고 대답했다. 농부의 말에 감동한 펕벅은 ”지금까지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광경이었다"라고 회상하였다. 서양의 농부였다면 달구지에 모든 짐을 싣고 농부도 함께 타고 편안하게 귀가하였을 텐데,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주려고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 지고 소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에 짜릿한 마음의 전율을 느꼈다고 펄벅은 토로하였다.

 

또 펄벅은 늦가을 감나무에 달려 있는 감을 보고 ”왜 감을 마저 따지 않았느냐?"는 질문을 하였더니 ”겨울을 지나는 새들을 위해 남겨놓은 ’까치밥‘"이라는 농부의 설명에 매우 감동하였다고 한다. 펄벅은 ”내가 가 본 어느 유적지나 왕릉보다 이 감동의 현장을 목격한 것 하나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오기를 잘했다고 자부한다"라고 털어 놓았다.

 

위와 같은 이야기는 한국을 소재로 한 펄벅의 소설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원재 : The Living Reed)>의 첫머리에 나온다.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의 초판본 표지에는 <아리랑>의 가사가 씌어 있고, 서문에 한국을 "고상한 사람들이 사는 보석 같은 나라다”라고 평하는 등, <갈대는 ~~>을 통해 한국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었다. 이 소설은 영・미 언론에서 <대지> 이후에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 받았다.

 

소설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의 초판본 표지에 <아리랑>의 가사가 씌어 있다고 했는데, 왜 ’아리랑‘의 가사가 책 표지에 소개됐는지 그 이유를 알 수가 없다. 다만 펄벅이 한국에서 느낀 정서적 감정으로 미루어 짐작하건데, 한국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정서를 이미 파악함으로써 작가적 상상력이 발휘된 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펄벅의 소설 <갈대는 ~~>의 표지에 ’아리랑‘의 가사가 씌어졌다는 것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앞에서, 펄벅이 거문고 소리를 들으면서 그 소리가 악기 소리가 아닌 사람이 울음을 참으며 흐느끼는 소리 처럼 들었다고 했다. 그것은 우리 문화와 정서에 대해 깊이 동감하여 함께 하려는 공명(共鳴)의 생각을 갖지 않으면 가능한 일이 아닐 것이다. 펄벅은 공명의 정서가 발현되고 그 의미가 함축된 노래가 ’아리랑‘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래서 <갈대는 ~~>의 표지에 ’아리랑‘의 가사를 소개한 것으로 본다.

 

아리랑은 우리 국악의 일부이다. 두말할 것도 없이 전통민요이다. 구전에 의해 전승되면서 자연스럽게 지역 공동체 집단의 민속성과 아울러 시대성과 사회성을 내포하고 있다. 아리랑은 근세 민족사를 반영하고 각 계층별로 그들 생활의 애환들을 담고 있다. 직업공동체나 사회공동체의 문화적 독자성이 강하게 아리랑에 담겨져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당연히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성이 담겨지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역의 음악적 독창성이 반영되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 지역의 ’아리랑‘이라고 할 것이다.

 

아리랑을 서울 작곡가에게 의뢰하여 ’지역 아리랑‘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는 모양이다. 이것은 난센스이다. 예를 들어 ’정선아리랑‘만 하더라도 강원도 영서지방의 모내기소리로 불려지는 ’긴아라리‘가 진화하여 현재에 이른 것이다. 만약 아리랑을 만든다면, 적어도 그 지역의 모내기소리나 노동요 등 토속민요에 정체성이 반영된 ’아리랑‘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정선아리랑이 유명하다고 정선아리랑을 흉내 내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제는 펄벅의 시대를 넘어 글로벌 K-컬처 시대로서 세계인들이 지켜보고 있다.

 

 

 

 

 

 

 

0 Comments
New

새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 JTBC

| 댓글 0 | 조회 2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JTBC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5 <br>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 댓글 0 | 조회 32
우리는 현대를 살면서 수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해 낸다. 그런데 혹자는 그것을 하늘에서 어느 날 번쩍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 많은 아이디어들은 우리 조상님들이 물려주신 토양에서 나온다. 그 토양인 즉, 가난이란 결핍에서 아이디어들은 발현되는 것이다. 가장 현대적인 것이 되려면 가장 오래된 정원이 필요하다. 아주 오래 묵은 정원일수록…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4 <br>AI가 만든 국악 ‘보허자’

| 댓글 0 | 조회 47
별들이 하늘에 의미 없이 흩어져 있는 것 같지만 의미 있는 형상들을 골라서 연결하면 북두칠성이 된다. 하나의 형상이 생기는 것이다. 형상은 물질이 아니다. 우리가 집을 지으려면 그 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재료들을 고른다. 그 재료들이 모여서 집을 완성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재료는 의미 있는 정보들을 말한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에 천문학적으로 쌓인 빅데이터에…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3 <br>AI가 작곡한 베토벤 교향곡 10번

| 댓글 0 | 조회 66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들이 높다. AI 시대에는 빅데이터가 생명이라고 한다. 우리는 AI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제공하는 정보가 더 많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서 물건을 주문한다든지 애플리케이션에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검색 데이터, 소비 관련 데이터들이 …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65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 MSN

| 댓글 0 | 조회 71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MSN
New

새글 박종인의 "상해 임정 요인의 국적 감정"를 읽고

| 댓글 0 | 조회 76
조선일보 3월 15일자 박종인의 역사칼럼 [박종인 기자의 ‘흔적’]에는 "조국을 위해서 그들은 중국 국적을 택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지난 해 8월 8일 필자의 독립기념관장 취임에 맞춰 이종찬 광복회장이 제기한 에 대한 논쟁이 일어난지 7개월 만에, 그리고 올해 2월 14일 김문수 장관의 논란이 일어난 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정리한 글이었다. 독자들에게 정…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82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네이트 뉴스

| 댓글 0 | 조회 83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네이트 뉴스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2 <br>아! 다 생각이 있었구나

| 댓글 0 | 조회 105
 지난 3월 11일 자의 칼럼에 ‘3대가 행복한 광주시’의 플래카드와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했다. 길거리마다 정치적 구호가 난무하여 어지럽던 차에 신선한 문구라고 칭찬했다. 그러면서 3대가 행복한 도시가 되려면 100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할 테니 속성으로라도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서 행복한 도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요즈음 지구상에서 행복지수를… 더보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1 <br>무위정치 그리고 한국음악

| 댓글 0 | 조회 90
오늘은 다소 생뚱맞은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국악 이야기를 하다가 느닷없이 정치 이야기를 한다니 그렇게 보일 것이다. 어쩌면 논리가 없는 이상한 이야기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옛날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데 이해하는 분이 많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옛날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현실 정치에 대한 이야기는 더 말하기 어렵다. 현실정치에 대한 노골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0<BR> ‘경상남도 국악진흥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 댓글 0 | 조회 153
잘 가꾸어진 오래된 정원에 다색다양한 꽃들이 만발하고 있다. 그 꽃들은 다시 갖가지 화병이나 화분에 포장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있다. 오히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인기가 더 많다. 그 꽃의 이름은 K-컬처이다.   K-컬처의 영향으로 북미에서는 한글을 배우는 인구가 70%나 증가했다고 한다. 반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인구는 미국에서 거의 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19<br>오래된 정원을 가꾸는 이들 – 세종실록 악보를 오선보로

| 댓글 0 | 조회 172
그동안 오래된 정원을 가꾸어 온 이들은 많았다. 순수 국악이론 또는 작곡과 연주 등의 많은 업적들은 오래된 정원의 창고에 쌓여져 거름으로 쓰여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오래된 정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새 생명이 드러나도록 거름을 주며 새로운 창조의 곡괭이질을 해야 할 때이다.   2010년, 2,000여 명이 모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개막공연… 더보기
Hot

인기 제106주년 3.1절 독립기념관장 기념사

| 댓글 0 | 조회 149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 후손과 내외 귀빈 여러분, ‘3.1운동 제106주년 기념식’을 이곳 독립기념관에서 갖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더욱이 독립기념관이 위치한 천안은 우리 모두의 가슴에 언제나 3.1절을 상징하는 ‘윤관순 누나’가 만세를 부른 아우내 장터가 자리한 곳이어서 그날의 감동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더보기
Hot

인기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 JTBC

| 댓글 0 | 조회 134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JTBC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96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7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MSN

| 댓글 0 | 조회 15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MS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