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5 -논리력과 순발력의 조화로움이 한류의 특징

동기관련 기사

홈 > 사진영상 > 동기관련 기사
동기관련 기사
 ※ 이용 안내
 - 이곳은 ROTC15기 동기들의 신문 잡지 기사 및 개인 블로그 글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저장하는 곳입니다.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5 -논리력과 순발력의 조화로움이 한류의 특징

돌연변이는 창조를 생물학적으로 말하는 것이다. 창조는 합리적 일변도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나올 수 없다. 한국인이 잘 하는 것은 임기응변, 궁즉통이다. 그것은 특히 순발력에서 나오는 임시변통 즉 브리콜라주(bricolage)라고 하는데, 산에 다니면서 짚을 것이 필요할 때 지팡이 같은 막대기를 찾는 것 등을 말한다. 그런데 요즈음 사람들은 컴퓨터와 같은 논리력이 강한 앤지니어들에게 너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창조성이 강조되는 한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균형감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것은 논리력과 돌연변이와 같은 창조적 상상력의 조화로움일 것이다.

 

브리콜라주의 사전적 의미는 문화 상품이나 현상을 재구축하는 전술의 한가지로서 조합이나 땜질, 부분적인 문화 재조립 따위를 뜻한다. 레비스트로스가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레비스트로스(levi straus, 1908~1991)는 프랑스의 사회 인류학자로서 구조주의의 대표적 논객(論客)이다.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는 2021년 4월 6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지 어느덧 4년 4개월째가 되고 있다. 며칠 전 ‘박상진 한류 칼럼집’ 『한류 이야기』가 출간되었다. 필자는 첫 집필을 시작하면서 ‘필자 자신의 끊임없는 내면의 갈등과 싸우면서 자유롭게 풀어가고자 한다.’라고 피력하였다. 1회부터 85회까지 캍럼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짜놓고 시작한 것이 아니다. 결국 칼럼을 그때그때 순발력에서 임시변통, 즉 브리콜라주 식으로 써 왔던 것이다. 물론 나의 논문을 기반으로 한 트로트와 K-POP, 국악과 관련한 논리력은 칼럼의 큰 기반이 되었다.

  

_20240715_132223052.jpg‘박상진 한류 칼럼집’ 『한류 이야기』의 책 표지

 

‘박상진 한류 칼럼집’ 『한류 이야기』의 책 구성은 ‘제1장 트로트 이야기-흙과 바람’, ‘제2장 한류와 4차 산업혁명’, ‘제3장 K-POP이야기-K-POP의 원형자산은 국악’, ‘제4장 수학과 한류 이야기-융합적 사고의 산물’, ‘제5장 다양한 한류의 이야기-드라마·영화·경제·K-POP 댄스’, ‘제6장 BTS이야기-BTS와 아미 현상’, ‘제7장 국악이야기-국악진흥법’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런데 그동안 연재된 칼럼의 구독자 수는 얼마나 될까? 궁금해진다. 그래서 ‘국악신문’에 연재된 83회까지 각 회마다 조횟수에 대한 통계를 내어 보았다. 총 조횟수 183만1,772회였다. 각 회마다 펑균 2만2천70회가 조회된 것으로 나타났다. 1회당 제일 적게 조회된 수는 천228회, 가장 많이 조회된 횟수는 11만천828회이다.

 

분석한 바에 따르면, 대중적 지지와 상관없는 ‘한류와 4차 산업혁명’이 제일 적게 봤으며, 역시 대중적 관심과 지지도가 높은 ‘K-드라마의 새로운 역사-오징어 게임’이 가장 많은 조횟수를 기록하였다.

 

위의 내용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면, 트로트 이야기는 16만6천여 회, K-POP 관련한 BTS와 아미 이야기는 20만 회, 특히 국악진흥법과 유인촌 장관 관련 기사가 45만 회 가까이 조회된 것으로 분석되어 주목되고 있다. 그것은 국악진흥법과 신임 유인촌 장관의 행보에 관한 관심이 그만큼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학과 한류 이야기-융합적 사고의 산물’에 대한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 교수의 이야기는 20만 회에 가까울 정도로 호응이 좋았다. 반면 엔카에 대한 이야기는 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대목은 조횟수 1위인 ‘K-드라마의 새로운 역사-오징어 게임’에 이어서 조횟수 2위는 십만243명으로서 ‘K-POP 등은 무역 수지 흑자에도 기여’이다. 의외의 결과로 보여지며 구독자들은 문화산업에도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을 10회 이상 연재하였는데 30만 여회가 조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국악인들이 ‘악학궤범 편찬한 날’로 ‘국악의 날’을 지정하자는 필자의 의견에 공감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지금까지 83회에 걸쳐 연재한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의 구독에 관한 분석결과는 ‘논리력과 순발력의 조화로움은 한류의 특징이다’ 라고 결론지어도 좋을 것 같다.

   


 ※ 외부인사 원고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0 Comments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3 <br>AI가 작곡한 베토벤 교향곡 10번

| 댓글 0 | 조회 32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들이 높다. AI 시대에는 빅데이터가 생명이라고 한다. 우리는 AI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제공하는 정보가 더 많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서 물건을 주문한다든지 애플리케이션에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검색 데이터, 소비 관련 데이터들이 …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34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 MSN

| 댓글 0 | 조회 38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MSN
New

새글 박종인의 "상해 임정 요인의 국적 감정"를 읽고

| 댓글 0 | 조회 46
조선일보 3월 15일자 박종인의 역사칼럼 [박종인 기자의 ‘흔적’]에는 "조국을 위해서 그들은 중국 국적을 택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지난 해 8월 8일 필자의 독립기념관장 취임에 맞춰 이종찬 광복회장이 제기한 에 대한 논쟁이 일어난지 7개월 만에, 그리고 올해 2월 14일 김문수 장관의 논란이 일어난 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정리한 글이었다. 독자들에게 정…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48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네이트 뉴스

| 댓글 0 | 조회 64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네이트 뉴스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2 <br>아! 다 생각이 있었구나

| 댓글 0 | 조회 62
 지난 3월 11일 자의 칼럼에 ‘3대가 행복한 광주시’의 플래카드와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했다. 길거리마다 정치적 구호가 난무하여 어지럽던 차에 신선한 문구라고 칭찬했다. 그러면서 3대가 행복한 도시가 되려면 100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할 테니 속성으로라도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서 행복한 도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요즈음 지구상에서 행복지수를…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1 <br>무위정치 그리고 한국음악

| 댓글 0 | 조회 62
오늘은 다소 생뚱맞은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국악 이야기를 하다가 느닷없이 정치 이야기를 한다니 그렇게 보일 것이다. 어쩌면 논리가 없는 이상한 이야기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옛날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데 이해하는 분이 많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옛날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현실 정치에 대한 이야기는 더 말하기 어렵다. 현실정치에 대한 노골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0<BR> ‘경상남도 국악진흥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 댓글 0 | 조회 127
잘 가꾸어진 오래된 정원에 다색다양한 꽃들이 만발하고 있다. 그 꽃들은 다시 갖가지 화병이나 화분에 포장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있다. 오히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인기가 더 많다. 그 꽃의 이름은 K-컬처이다.   K-컬처의 영향으로 북미에서는 한글을 배우는 인구가 70%나 증가했다고 한다. 반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인구는 미국에서 거의 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19<br>오래된 정원을 가꾸는 이들 – 세종실록 악보를 오선보로

| 댓글 0 | 조회 143
그동안 오래된 정원을 가꾸어 온 이들은 많았다. 순수 국악이론 또는 작곡과 연주 등의 많은 업적들은 오래된 정원의 창고에 쌓여져 거름으로 쓰여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오래된 정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새 생명이 드러나도록 거름을 주며 새로운 창조의 곡괭이질을 해야 할 때이다.   2010년, 2,000여 명이 모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개막공연… 더보기
Hot

인기 제106주년 3.1절 독립기념관장 기념사

| 댓글 0 | 조회 120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 후손과 내외 귀빈 여러분, ‘3.1운동 제106주년 기념식’을 이곳 독립기념관에서 갖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더욱이 독립기념관이 위치한 천안은 우리 모두의 가슴에 언제나 3.1절을 상징하는 ‘윤관순 누나’가 만세를 부른 아우내 장터가 자리한 곳이어서 그날의 감동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더보기
Hot

인기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 JTBC

| 댓글 0 | 조회 107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JTBC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6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66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66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65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MSN

| 댓글 0 | 조회 127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MSN
Hot

인기 [포토] ‘3.1절 기념식’ 기념사하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 천지일보

| 댓글 0 | 조회 116
[포토] ‘3.1절 기념식’ 기념사하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천지일보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네이트 뉴스

| 댓글 0 | 조회 120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네이트 뉴스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12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