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진만 선교사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 출간

동기관련 기사

홈 > 사진영상 > 동기관련 기사
동기관련 기사
 ※ 이용 안내
 - 이곳은 ROTC15기 동기들의 신문 잡지 기사 및 개인 블로그 글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저장하는 곳입니다. 


리진만 선교사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 출간

0 343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 출간

리진만 선교사 “한국 근대사와 한국 초기 선교역사 연구에 기여 기대”


[출처] 기독교 일간지 신문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42649#share
 

1195c62e59374f3efd7de7e91799d8d7_1736687271_8851.jpg
 

오는 5일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The Korean Repository) 1899’ 편역본이 출간된다.


개화기 선교역사, 교회역사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해 온 편역자 리진만 선교사(인도네시아, 우간다)는 최근 본지와 서울 중구 모처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개화기 대한국 역사와 선교역사가 풍성한 이 희귀 자료는 국내외 어느 도서관에서도 쉽게 접할 수 없는 자료였지만 편역본으로 나오게 되어 더 많은 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 장점을 가졌다”고 밝혔다.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준프로세스)은 아펜젤러 선교사와 존스 선교사가 공동편집해 발간한 국내 최초의 영문 주간지이다. 1899년 삼문출판사에서 발행한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주간지를 원형 그대로 재현했고, 여기에 번역본을 더해 본문과 번역 196쪽, 기타 미주와 부록 44쪽으로 구성됐다.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는 어떤 책인가?


“서지학자들에게도 잘 알려지지 않은 잡지이다. 그 이유는 이 잡지의 전신인 ‘코리안 리포지터리’가 1892년 1월에 창간되어 1898년 12월호까지 월간으로 발행되다가 종간을 선언한 후, 이듬해 2월에 주간으로 다시 발간했지만 4개월 동안 17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기 때문이다.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주간지로 탈바꿈한 지 5개월로 접어들던 1899년 6월 1일 자 호에서 폐간 선언을 하며 ‘독립신문(THE INDEPENDENT)’에 합병 형식으로 모든 경영권을 넘긴다는 사고(社告) ‘FINIS’를 실으며 20세기 문턱을 넘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갔다.”


1195c62e59374f3efd7de7e91799d8d7_1736687323_8064.jpg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표지(맨 왼쪽)를 편역본 첫 이미지로 사용했다. ©준프로세스 제공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어떤 의미가 있나.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선교사들이 1892년 1월에 창간한 ‘한국에서 발행된 최초의 근대잡지’이다. 선교사 올링거(F. Ohlinger) 부처가 1년간 발행한 후에 중단했다가 1895년 1월에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와 존스(George Hebert Jones)가 편집인으로, 헐버트(Homer B. Hulbert)는 부편집인으로 참여하여 1898년 12월까지 발행하였다. 배재학당 내에 소재하고 감리교 선교부에서 운영하는 삼문출판사(三文出版社, The Trilingual Press)에서 발간되었다.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A5판보다 약간 작은 판형(15.5cm×22.5cm)에 40쪽 정도 분량이었다. 선교사들의 시각에서 본 한국어, 역사, 문화, 시사적인 내용 등 다양한 기사를 실었다. 당시 한국의 사정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899년 2월부터는 주간으로 발행했는데, 월간과 같은 판형(A5판)으로 제8호까지는 4쪽, 그 이후로는 8쪽 분량이었고, 마지막 호인 1899년 6월 1일 자 지령은 제17호였다.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당시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뿐만 아니라 한국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에게 근대 한국의 정치, 경제, 문화, 풍습, 종교, 언어를 소개하는 유일한 소통 창구였다. 1899년 2월 주간 체제로 변경된 이유는 글을 기고하는 사람들이 부족했고,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이었다. 이러한 연유로 공동편집자가 글을 쓰거나 다른 저자들의 글을 발췌해 싣는 횟수가 많아졌다. 편집 내용을 보자면 ‘CITY AND COUNTRY’와 ‘TELEGRAPHIC NEWS’에서 국내외 소식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대한국의 공공 소식지인 관보(OFFICIAL GAZETTE) 내용을 정리해서 게재해 외국인들에게 대한국 현황을 알리는 소식지 성격이 강하다. 1899년 ‘코리안 리포지터리’ 영문 잡지가 폐간하며 계승한 곳은 ‘독립신문’이었고, ‘코리안 리포지터리’의 편집권만이 아니라 경영권까지 합병 형식으로 넘어갔다. 이러한 측면에서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사료적 가치와 역사적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195c62e59374f3efd7de7e91799d8d7_1736687342_6502.jpg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 부록면 ©준프로세스 제공

-‘코리안 리포지터리’가 출간된 삼문출판사에 관해서도 소개해 달라.


“한국 기독교 출판사로서는 최초가 되는 감리교의 출판사로, ‘삼문(三文)’은 한글, 영어, 중국어로 인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세 가지 언어란 의미에서 붙여졌다. 삼문출판사는 당시 서울 정동에 있었기 때문에 ‘정동예수교출판소’라고 불리기도 하였고, 미국 감리교 선교사들의 약자인 ‘MEM(Methodist Episcopal Mission)’을 중국어 ‘美以美(메이이메이)’로 읽고 표기한 데서 ‘美以美活版所(미이미활판소)’로 불리기도 하였다. 다른 이름으로는 ‘韓美華出版所(한미화출판소)’라고도 불렀다.


삼문출판사는 당시 정부의 인쇄 시설인 박문국(博文局), 민간 인쇄 시설인 광인사인쇄공소(廣印社印刷功所)와 더불어 출판과 문서선교를 주도한 유일한 기독교 출판사였다. 아펜젤러는 삼문출판사를 배재학당 내에 설립하여 배재학당 학생 중 학비가 부족해 학업이 힘든 학생들을 위해 활자 조판 등 인쇄 업무를 하게 하여 스스로 학비를 벌 수 있도록 도왔다. 숙련되지 않은 학생 조판 기술자들의 참여로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많은 오자와 탈자가 발견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삼문출판사는 개화기 수많은 책과 신문을 출간한 출판사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영문 잡지 ‘코리안 리포지터리’를 위시하여 여러 종류의 기독교 신문, 잡지 등 정기간행물을 발간했다. 또한 일반 서적과 교과서 및 기독교 출판사 명성에 걸맞은 대부분의 성경과 찬송가, 교리서 등을 출간했다.”


1195c62e59374f3efd7de7e91799d8d7_1736687353_8807.jpg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편역본 ©준프로세스 제공

-2025년 새해 첫 주를 맞아 처음으로 편역 출간되어 의미 있는 것 같다. 이 책의 특징은?


“1899년 2월 9일부터 6월 1일까지 주간으로 17회 활판 인쇄된 ‘코리안 리포지터리’를 편역자인 제가 컴퓨터로 옮기고 이를 번역하면서,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지령별로 역주(譯註)를 달았다. 일반 독자들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에게 일차 사료를 영인본으로 보여주는 것보다는, 읽기에 편하고 연구에 용이하도록 판독이 불가한 일부 단어는 문맥과 상황을 고려해서 재생했다. 심층 연구를 원하는 연구자들은 이 원본 자료를 연세대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아카이브에서 참조해 볼 수 있다.


1899년 발행 ‘코리안 리포지터리’는 대한제국 최초의 영문 주간지임에도 불구하고 이 자료에 대한 연구가 단지 몇몇 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아쉽게 생각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연구의 토대가 되는 ‘코리안 리포지터리 1899’ 원본이 연세대 중앙도서관과 완주책박물관 이외에는 우리나라 국립중앙도서관뿐만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대학 도서관에서도 접할 수 없기 때문이다.

1195c62e59374f3efd7de7e91799d8d7_1736687373_7535.jpg
 


편역자 리진만 선교사는 “이번 출간을 계기로 개화기 선교역사, 근대역사, 특별히 언론 문화의 지평을 연 ‘코리안 리포지터리’와 이 책을 발간한 삼문출판사와 편집에 참여한 여러 선교사에 대한 재조명이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준프로세스 제공

특별히 이 책에서 소개하는 No. 2와 No. 16의 자료는 전 세계에 처음으로 내어놓는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1899년 발간된 ‘코리안 리포지터리’ 내용은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지 못했고, 또한 일부 학자들의 논문과 책뿐만 아니라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학중앙연구원 홈페이지에서도 여러 오류가 발견된다. 저는 이것이 한 세기 이전에 간행된 자료에 접근할 기회가 없어 연구할 수 없는 기술적 문제였다고 생각한다.


 


부디 이번 편역본 발간을 계기로, 개화기 선교역사, 근대역사, 특별히 언론 문화의 지평을 연 ‘코리안 리포지터리’뿐 아니라 이 책을 발간한 삼문출판사와 편집에 참여한 여러 선교사에 대한 재조명이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편역자로서 소감과 기대는.


“이 책을 발간하기까지 성원해 주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이영미 박사님,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브라더 안토니(Brother Anthony) 수사님, 완주책박물관 박대헌 관장님, 원주연세의료원 의료사료관 안성구 관장님, 아펜젤러기념사업회 김낙환 박사님, 기독일보·선교신문 이지희 기자님, 그리고 미국에 있는 나의 조카 조이 김 박사(Dr. Joy Kim) 등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


출판사 준프로세스에서 펴내는 이 자료집이 한국 근대사와 한국 초기 선교역사를 연구하는 데 기여하길 소망한다. 독자들과 연구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편역자로서 보람 있는 일이라 생각하며 이 책을 내놓는다.”(문의 02-2266-5563 준프로세스)


[출처] 기독교 일간지 신문 기독일보 https://www.christiandaily.co.kr/news/142649#share

0 Comments
New

새글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 JTBC

| 댓글 0 | 조회 2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 안 해...광복회장 채점표부터 공개" 맞불  JTBC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5 <br>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 댓글 0 | 조회 33
우리는 현대를 살면서 수많은 아이디어를 생산해 낸다. 그런데 혹자는 그것을 하늘에서 어느 날 번쩍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 많은 아이디어들은 우리 조상님들이 물려주신 토양에서 나온다. 그 토양인 즉, 가난이란 결핍에서 아이디어들은 발현되는 것이다. 가장 현대적인 것이 되려면 가장 오래된 정원이 필요하다. 아주 오래 묵은 정원일수록…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4 <br>AI가 만든 국악 ‘보허자’

| 댓글 0 | 조회 47
별들이 하늘에 의미 없이 흩어져 있는 것 같지만 의미 있는 형상들을 골라서 연결하면 북두칠성이 된다. 하나의 형상이 생기는 것이다. 형상은 물질이 아니다. 우리가 집을 지으려면 그 집에 필요한 여러 가지 재료들을 고른다. 그 재료들이 모여서 집을 완성하는 것이다. 여기서의 재료는 의미 있는 정보들을 말한다. 즉 인터넷 네트워크에 천문학적으로 쌓인 빅데이터에… 더보기
New

새글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3 <br>AI가 작곡한 베토벤 교향곡 10번

| 댓글 0 | 조회 66
AI(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들이 높다. AI 시대에는 빅데이터가 생명이라고 한다. 우리는 AI의 서비스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제공하는 정보가 더 많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이용해서 물건을 주문한다든지 애플리케이션에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검색 데이터, 소비 관련 데이터들이 …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65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 MSN

| 댓글 0 | 조회 71
전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뉴라이트? 친일파 그 자체”  MSN
New

새글 박종인의 "상해 임정 요인의 국적 감정"를 읽고

| 댓글 0 | 조회 78
조선일보 3월 15일자 박종인의 역사칼럼 [박종인 기자의 ‘흔적’]에는 "조국을 위해서 그들은 중국 국적을 택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지난 해 8월 8일 필자의 독립기념관장 취임에 맞춰 이종찬 광복회장이 제기한 에 대한 논쟁이 일어난지 7개월 만에, 그리고 올해 2월 14일 김문수 장관의 논란이 일어난 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정리한 글이었다. 독자들에게 정… 더보기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MSN

| 댓글 0 | 조회 82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MSN
New

새글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 네이트 뉴스

| 댓글 0 | 조회 84
강원중소기업회장 연임 성공…'초당두부 설립' 최선윤 회장 재신임  네이트 뉴스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2 <br>아! 다 생각이 있었구나

| 댓글 0 | 조회 105
 지난 3월 11일 자의 칼럼에 ‘3대가 행복한 광주시’의 플래카드와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했다. 길거리마다 정치적 구호가 난무하여 어지럽던 차에 신선한 문구라고 칭찬했다. 그러면서 3대가 행복한 도시가 되려면 100년 동안의 시간이 필요할 테니 속성으로라도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서 행복한 도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요즈음 지구상에서 행복지수를… 더보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1 <br>무위정치 그리고 한국음악

| 댓글 0 | 조회 90
오늘은 다소 생뚱맞은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국악 이야기를 하다가 느닷없이 정치 이야기를 한다니 그렇게 보일 것이다. 어쩌면 논리가 없는 이상한 이야기로 보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옛날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데 이해하는 분이 많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옛날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현실 정치에 대한 이야기는 더 말하기 어렵다. 현실정치에 대한 노골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20<BR> ‘경상남도 국악진흥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 댓글 0 | 조회 153
잘 가꾸어진 오래된 정원에 다색다양한 꽃들이 만발하고 있다. 그 꽃들은 다시 갖가지 화병이나 화분에 포장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기쁨을 주고 있다. 오히려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인기가 더 많다. 그 꽃의 이름은 K-컬처이다.   K-컬처의 영향으로 북미에서는 한글을 배우는 인구가 70%나 증가했다고 한다. 반면 다른 나라의 언어를 배우는 인구는 미국에서 거의 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국악 이야기 19<br>오래된 정원을 가꾸는 이들 – 세종실록 악보를 오선보로

| 댓글 0 | 조회 172
그동안 오래된 정원을 가꾸어 온 이들은 많았다. 순수 국악이론 또는 작곡과 연주 등의 많은 업적들은 오래된 정원의 창고에 쌓여져 거름으로 쓰여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제는 오래된 정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새 생명이 드러나도록 거름을 주며 새로운 창조의 곡괭이질을 해야 할 때이다.   2010년, 2,000여 명이 모인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개막공연… 더보기
Hot

인기 제106주년 3.1절 독립기념관장 기념사

| 댓글 0 | 조회 149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독립유공자 후손과 내외 귀빈 여러분, ‘3.1운동 제106주년 기념식’을 이곳 독립기념관에서 갖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더욱이 독립기념관이 위치한 천안은 우리 모두의 가슴에 언제나 3.1절을 상징하는 ‘윤관순 누나’가 만세를 부른 아우내 장터가 자리한 곳이어서 그날의 감동이 더 생생하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사회는… 더보기
Hot

인기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 JTBC

| 댓글 0 | 조회 134
김형석 "1945년 광복 인정" 일제강점기 국적 질문엔  JTBC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96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7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아시아경제

| 댓글 0 | 조회 82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아시아경제
Hot

인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 MSN

| 댓글 0 | 조회 153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3.1운동은 민족 대단결의 상징"  MS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