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7

자유게시판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7

0 929

[국악신문]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7

- 싸이의 '강남 스타일', 흥과 끼의 창작물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한류를 형성하고 있는 요소는 보편성과 독창성이다.한국인의 장끼인 창의성과 끼가 한류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소위 한류의 DNA라고 하는 한국인의 문화적예술적 역량은 어떤 근원에서 비롯되었을까동양미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논어의 내용 중 화이부동(和而不同)과 위이불범(違而不犯)’에 대해 비교 설명을 함으로써 한국인의 문화적 성향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화이부동은 절제의 미()’라고 하며 예()에 해당하고 국악에서는 정악(正樂)에 해당한다. ‘위이불범은 자유의 미라고 하며 악()에 해당하고 국악에서는 민속악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화이부동은 지나치지 않게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화합형이다상대를 존중하고 이해하고 양보하니 하모니가 잘 이루어진다그러니 메뉴얼을 만들고 잘 지킨다산업화 시대에 적합한 민족이라고 할까아마 일본이 여기에 해당되는 민족이 아닌가 생각한다. ‘위이불범은 자신을 드러내기를 좋아한다지나치지 않게그리고 창의적이고 끼가 많다그러니 돌출형들이 많다자기 주장이 강하다그러니 메뉴얼보다는 순간 순간 창의성과 임기응변즉흥성에 능하다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민족이라고 할까한국(한민족)이 여기에 해당이 되는 민족일 것이다여기서 화이부동은 보편성이라고 할 수 있고, ‘위이불범은 독창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까지는 세계에서 일본문화가 동양의 문화대표 격으로 행세를 하였다동양에는 일본문화만 존재하는 듯이 보였다그리고 일본 문화는 고급문화라는 등식으로 인식되었다한국문화는 중국과 일본에 가려져 보이지도 않았다오히려 한국문화는 중국문화의 아류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사실 한국은 선진 일본문화를 따라 흉내내기에 급급하기도 했다그러나 여기까지다.


20세기 중반 이후거대한 한류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우리 민족의 원조인 동이(東夷)민족이 동양문화의 원형(原型)을 창조했듯이실크로드를 따라 중앙아시아를 넘어 유럽에까지 우리 문화가 넘실댔듯이 새로운 한류의 실크로드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화이부동(和而不同)과 위이불범(違而不犯)' 중 한국인들에게는 이 두 가지 사상이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는데 아마도 대 정도가 아닐까 생각한다우리 민족은 위이불범에 가까운 민족으로서 창의적이고 끼가 많다일본인은 위이불범보다는 화이부동에 가까운 민족으로서 창의적이기 보다는 다른 나라의 문화를 모방하여 자기의 문화로 탈바꿈시키는데 능한소위 모방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일본은 관료주의가 발달하고 국가통치의 수단으로 모든 분야에 전자회로와 같은 매뉴얼을 만들어 국민들이 지킬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한다비상시국을 염려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지만일본국민 특유의 근면성으로 지금까지 잘 지켜져 왔다고 본다그러나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 일련의 비상사태를 목격한 우리는 그들의 창의적이지 못한 메뉴얼 국가 이미지를 확인하게 된다.


한국은드라마 대장금’ 등이 일본과 중국을 거쳐 동남아에서 인기를 끌면서 "이것은 한류다라는 용어가 중국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10여 년 전 중국 최고의 인민대회에서는 우리나라 드라마인 김수현전지현 주연의 별에서 온 그대를 거론하면서 중국에서는 이런 드라마를 왜 못 만드느냐고 자탄을 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다. K 드라마, K 팝 등이 세계를 요동치고 있다이런 현상에 대해 국민들도 놀라고 정부도 한류에 대한 관심을 기울일 정도가 되었다그렇다면 싸이의 강남스타일과 같은 팝 등의 현상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1

댓글 0 | 조회 846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31-국악은 영양가 높은 한류음악의 원형자산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그 동안 지난2회에 걸쳐서 싸이의'…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0

댓글 0 | 조회 799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30<강남스타일>은 휘모리장단으로 작곡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회에 이어서 '강남스타…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9

댓글 0 | 조회 892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9- 국악퓨전음악과 <강남스타일>의 차이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필자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8

댓글 0 | 조회 903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8- 문화의 의미는 홍익인간 사상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강남스타일'을 이야기하기 전에 문화기본법에… 더보기
Now

현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7

댓글 0 | 조회 930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7- 싸이의 '강남 스타일', 흥과 끼의 창작물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한류를 형성하고 있는 요소는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6

댓글 0 | 조회 949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6- 귤이 탱자가 되는 사회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가수 싸이의 빌보드 차트 2위 등극한 '강남스타일…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5

댓글 0 | 조회 835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5- 한류와 4차 산업혁명(5)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전쟁이 하루 속히…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4

댓글 0 | 조회 799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4- 한류와 4차 산업혁명(4)박상진(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과거 한반도가 중국,일본,러시아의 각축장이 되고 일제강점기,분단과 한국전쟁,그…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3

댓글 0 | 조회 900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3- 한류와 4차 산업혁명(3)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선승독식(先勝獨食)의 시대에 대비하고 제4차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2

댓글 0 | 조회 854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2- 한류와 4차 산업혁명(2)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박상진의 한류 이야기”중‘한류와4차 산업혁명(2)’는 지난 회에 이…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1

댓글 0 | 조회 728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1- 한류와 4차 산업혁명(1)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박상진의 한류 이야기”는 문화와 문명사적 테두리 안에서 정치,경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0

댓글 0 | 조회 1,032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0- 흙과 바람, 전통과 변화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얼마 전 자동차 전용 도로를 운전하며 가는데"길어깨 없음”이라는 표지판…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9

댓글 0 | 조회 840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9- 트로트는 한국의 현대민요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고가 마사오는 감수성이 민감한 유소년 시절을 한국에서 보냈다.고가 마사…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8

댓글 0 | 조회 958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8- 일본 엔카의 창법은 미국 크루너 창법의 변형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17회에서,일본에서 표절 시비가 일었던1931년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7

댓글 0 | 조회 914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7- 한국의 전수린을 일본 고가 마사오가 표절했다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1926년,한국의 전수린 작곡의<고요한 장안&…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6

댓글 0 | 조회 855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6 - <고요한 장안>과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 악보 비교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그동안‘박상진의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5

댓글 0 | 조회 884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5 - 한을 흥으로 극복한 전수린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한국‘트로트의 아버지’라고 불러야 마땅한 천재성을 가진 전수린은 어…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4

댓글 0 | 조회 855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4 - 한국 트로트의 아버지 전수린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엔카의 전설이라고 불리는 다카기 이치로는,제이피(JP)뉴스와의 인…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3

댓글 0 | 조회 1,094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3- “엔카는 한국이 원조다”(엔카의 전설 ‘다카기 이치로’)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국악신문] 조선 세종 31년(144…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2

댓글 0 | 조회 909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2- 붕어빵 예술교육에서 자유로운 K-POP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지난‘박상진의 한류 이야기11회’는 국악 음계에 대한 내… 더보기
카테고리
Banner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