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3

자유게시판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13

0 1,083

[국악신문]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13

- “엔카는 한국이 원조다”(엔카의 전설 ‘다카기 이치로’)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월인천강지곡.jpg
[국악신문] 조선 세종 31년(1449)에 세종이 석가모니의 공덕을 찬양하여 지은 노래를 실은 책.으로 전해지는 책은 국보 제320호로 정식 명칭은 ‘월인천강지곡 권상(月印千江之曲卷上)’이다.

 

뉴욕의 유엔본부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기증한 월인천강지곡의 활자본그리고 그것을 인쇄한 활자들을 복원한 조형물이 그 위용을 드러내며 전시되어 있다이것은 1991년 9월에 유엔에 가입한 기념물이다. <월인천강지곡>의 고본(古本)을 복사 확대한 복제품인데사람 키만큼 높은 유리 상자에 보관되어 있어 한눈에 띈다더구나 한글 활자로 된 것이기에 한국의 고유어인 한글의 독창성을 당당하게 전시하는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이 전시물은최초의 한글 활자본인 월인천강지곡을 1000년 동안 보존된다는 특별한 한지에 복원하고당시의 활자를 재주조하여 조형물로 전시한 것이다월인천강지곡은 1447년에 쓰였으니 한국의 금속활자가 1440년경의 구텐베르크(Gutenberg)의 금속활자보다 결코 뒤지지 않는다는 사실이다이것은 한국이 막강한 한자 문화의 지배권에서도 주눅 들지 않고 한글을 창제한 나라임을 만천하에 자연스럽게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월인천강지곡은 불경에 나오는 말로서 월인천강(月印千江)’의 뜻은 하나의 달이 똑같은 모양으로 천()의 강물에 비친다는 뜻이다.


역사는 때론 소수에 의해 움직인다한 사람의 아이디어가 나라 전체의 이미지를 좋게도 나쁘게도 바꿀 수 있다그래서 창조는 개인의 힘이지만 그것의 결과는 국력이 된다최근에 살아있는 자기계발서로 평가받고 있고대통령이 한국 외교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극찬하며 미래문화특사로 임명된 BTS(방탄소년단), 그리고 싸이에 이어 미국의 저스틴 비버를 뛰어넘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튜브 구독자 수를 보유한 블랙핑크 등은 한류인 K-POP으로써 K-문화의 새로운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일제 강점기였던 100년 전 한국의 대중음악의 현실은 어떠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가요를 1926년 윤심덕이 불러 히트시킨 사의 찬미라고 하지만 그보다 앞선 1923년 무렵에 많은 국민들이 따라 불렀던 이 풍진 세월이라는 주장도 있다가사는 "이 풍진 세상을 만났으니 너의 희망은 무엇이냐로 시작하는 노래로서 원래 제목은 '희망가'이다. '사의 찬미'는 이바노비치의 왈츠곡 도나우강의 잔물결에서 곡을 흉내냈다고 하는데이 풍진 세월도 원작자는 영국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그 이후에 한국인 스스로 창조적으로 작곡된 곡이 1926년경에 작곡된 전수린의 '고요한 장안'인데이 곡은 한국에서는 실제로 극 중에 막간 가수의 노래로 불려지고 있었던 노래이다전수린은 1907년 개성에서 출생하였다어렸을 때부터 호수돈 여학교의 교장인 루추부인으로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고어린 나이에 동요를 작곡하기 시작하였다. 15세 때 송도고보를 중퇴한 전수린은 서울로 올라가 연악회(硏樂會)를 주도하고 있던 홍난파와 함께 활동하게 된다전수린은 한국 작곡가 최초로 빅타 레코드사에 전속되어 1932년에 '황성옛터'와 '고요한 장안'을 일본에서 발표하여 일약 유명한 작곡가가 된다.


2019-10-27_17.jpg
[국악신문] 당시 10만장이 팔린 음반 <사의 찬미(死の讃美)>,  1926년에 발표된 번안 가요. 윤심덕 작사, 이바노비치 작곡, 윤심덕 노래의 곡이다.

 

한편엔카의 대부로 불리게 된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 고가 마사오 작곡의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は 溜息)'는 1931년에 발표되었는데, 1932년에 표절시비에 휘말리게 된다한국의 전수린 작곡의 '원정'(한국에서는 '고요한 장안'으로 발표)을 표절했다는 것이다. '원정'이 발표됐을 때 일본 박문관(博文館)에서 출판하는 잡지 '신청년'에서 고가 마사오의 '술은 눈물인가 한숨인가'가 전수린의 '고요한 장안(원정)'을 표절했다고 하는 기사(이호섭 글 참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대한민국ROTC중앙회] 중앙회보 307호 발간

댓글 0 | 조회 244
웹진 보러가기(https://rotcmuseum.or.kr/pdfjs/web/viewer.html?file=rotc0307.pdf)지난 회보 보러가기(www.rotc.or.kr)▶…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1

댓글 0 | 조회 318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1‘시행령’의 핵심은 2030 국악인들에게 많은 지원 이뤄지게 하는 것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지난 달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70

댓글 0 | 조회 50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70“창조적 상상력을 통해 자아를 깨닫는 예술교육이어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국악진흥법’은 제9조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9

댓글 0 | 조회 425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9'국악진흥법'은 ‘창조적 상상력’의 행정이 뒷받침되어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한류 음악의 원형자산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8

댓글 0 | 조회 484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8- '고독감과 사회적 고립'을 ‘문화’로써 해결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지금과 같이 정치가 어지럽고 경…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7

댓글 0 | 조회 543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7“문화로 국민들에게 희망과 위로를”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취임을 진심으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6

댓글 0 | 조회 473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6한류 확산이 문화 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3)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한국은행은 지난 9…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5

댓글 0 | 조회 51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5한류확산이 문화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바야흐로 한류의 세상인…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4

댓글 0 | 조회 557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4한류확산이 문화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으로 시너지를(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2023년 7월 25일…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3

댓글 0 | 조회 56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3문화 융성의 길 – ‘국악진흥법’에서 새 길을 찾다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우리나라의 전통음악은 일제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댓글 0 | 조회 628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문화 융성의 길 - ‘온리 원(only one)’의 사고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요즈음 대통령 관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1

댓글 0 | 조회 558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1“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 BTS와 아미 현상(1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브라질에서는 2019년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

댓글 0 | 조회 665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 BTS와 아미 현상(1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이번 회에서는 데…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

댓글 0 | 조회 63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BTS와 같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왔다’ - BTS와 아미 현상(10)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1…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

댓글 0 | 조회 665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다양한 정체성에 대한 포용과 사랑 - BTS와 아미 현상(9)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 더보기
Hot

인기 삽십오일 간의 서유럽 자동차 여행 - 문근찬, 이명희 지음

댓글 0 | 조회 923
이번에 다녀온 '서유럽 자동차 여행'을 작은 책자로 만들어 봤습니다.해외 자동차여행에 관심있는 동기들에게 약간 도움이 될 내용이오니 일독 바랍니다. 문근찬 ^^https://www…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

댓글 0 | 조회 714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BTS의 음악이 투쟁가처럼 등장 - BTS와 아미 현상(8)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6

댓글 0 | 조회 83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6마음의 근력으로 빚어진 ‘한류’ - BTS와 아미 현상(7)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먼저, 앞의 55회에…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5

댓글 0 | 조회 737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5BTS와 아미 현상(6) - 문화적 사회 현상 창조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팝 음악의 변방으로 여겨졌던 … 더보기
Hot

인기 [대한민국ROTC중앙회] 중앙회보 299호 발간 안내

댓글 0 | 조회 923
웹진 보러가기(http://www.rotc.or.kr/_neo/pdfViewer/web/viewer.html?file=/_neo/contents/webzine/pdf/rotc029… 더보기
카테고리
Banner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