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자유게시판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0 595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 문화 융성의 길 - ‘온리 원(only one)’의 사고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요즈음 대통령 관저 선정 개입 의혹과 관련, 정치권에서는 역술인 천공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그러다가 갑자기 풍수지리 학자인 백재권(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교수의 이름이 언급되면서 풍수지리학이 과학이냐 아니냐로 다시 논란이 지펴지고 있다. 거기에 또 어느 물리학자가 등장하면서 그는 자신 있게 말할 수는 없지만 풍수지리학은 과학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견해를 내놓으면서 새로운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우선, 위의 논란은 정치권에서 벌어진 일로서 필자는 정치와는 무관하다. 다만 풍수지리학이 오해를 받고 있는 것 같아서 문화적 입장에서 풍수지리학을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에 대해 잠깐 이야기해보려고 한다.(이어령 글 참조)


2010년 23일, 24일 이틀간 서울시가 주최한 ‘세계 디자인 도시 서미트(WDC, World Design Cities Summit)’가 개최되었다. 이 행사에는 17개국 31개 주요 도시의 시장단과 도시 건축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주제 발표를 하였는데, 이 때 한국 측 주제 발표자는 이어령 교수였다.


건축가가 아닌 이어령 교수의 발표 주제는 ‘건축 없는 건축’이었다. 그 연설의 내용은 "집을 지을 때는 근사한 유형의 물리적 건축물 뿐만 아니라, 한국의 풍수지리나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터 자체가 건축의 핵심요소 중 하나가 될 수 있다”라는 요지였다.


그때 주최자인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한 각국의 많은 참가자들이 이어령 교수의 연설을 듣고 매우 놀라워했다. 이때 외국인 건축가 한 사람이 이어령 교수에게 손을 번쩍 들고 다가가 질문을 하는가 싶더니 큰 절을 하면서 고마움을 표했다고 한다.


그 외국인 건축가는 "당신의 이야기에 큰 감명을 받았습니다. ‘건축 없는 건축’에 대한 건축론을 속으로만 생각해 왔는데, 이젠 자신 있게 내 건축 이론을 주장할 수 있겠습니다.”라고 하면서 외국의 건축가는 이어령 교수에게 무한한 찬사를 보낸 것이다.


풍수지리는 산세(山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또는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에 연결시켜 집을 짓는데 적당한 장소를 찾는 이론이다. 태양을 따라서 지구 북반부에 있는 나라는 남향집을 짓지만 남반부에서는 북향의 집을 짓는다고 하는데, 위의 외국인 건축가는 이미 자연을 활용한 건축이론에 공감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이어령 교수에게 ‘전문가들의 전문가’, ‘전문가들이 생각을 훔치고 싶어 하는 전문가’가 된 비결에 대해서 묻자, 이어령 교수는 "나는 내 머리로 생각하는 것을 이야기하거든, 그러니 전문가들이 못하는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거지.”라고 간단히 답변하였다.

외국 이론을 배워 흉내 내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독창적 아이디어를 이끌어내는 것, 이것이야말로 여러 가지 객관적 정보와 다양한 지식이 널려 있는 이 시대에 꼭 필요한 발상과 태도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옳든 그르든 ‘온리 원(only one)’의 사고를 강조한 것이다.

51c112a4cb870a4826a60fe0269b3c50_1691717408_3756.jpg

한국의 풍수지리나 배산임수(背山臨水)의 터 자체가 건축의 핵심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요지는, 우리 스스로 우리의 전통을 폄훼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우리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하겠다.

지금 세계를 들썩이게 하며 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K-컬처는, 오직 한국인만이 갖추고 있는 정체성이 반영된 ‘온리 원(only one)’의 결과가 아니겠는가. 우리나라가 ‘문화 융성 국가’로 발전하는데 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동안 12회에 걸쳐서 연재했던 ‘BTS와 아미 현상’은 마치기로 한다. 때마침 ‘BTS와 아미현상’과 같은 유사한 일이 국내에서도 벌어지고 있다. 보도에 의하면, 가수 임영웅은 수재의연금으로 써달라고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2억 원을 기부했다. 그랬더니 임영웅의 팬클럽인 ‘영웅시대’도 온라인 기부 플랫폼을 통해 4억 2600여만 원을 모아 기부하며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팬클럽 ‘영웅시대’는 사랑을 받으면 10배로 보답한다는 임영웅의 가치관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한다. 마치 BTS와 아미의 선한 영향력을 연상케 하는 흐뭇한 광경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2

댓글 0 | 조회 73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2- 제8차 음악과(科) 교육 과정이 한류의 장애물이 되지 말아야(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회에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9

댓글 0 | 조회 723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39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 연휴, 미국 시간으로 12일에 우리 국민들은…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4

댓글 0 | 조회 707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4- K-POP을 한 차원 끌어 올린 블랙핑크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6월 방탄소년단(BTS)이 군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1

댓글 0 | 조회 704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1BTS와 아미 현상(2)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BTS와 아미가 만들어가는 상호 협력적 관계는 이제 우리…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5

댓글 0 | 조회 70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5BTS와 아미 현상(6) - 문화적 사회 현상 창조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팝 음악의 변방으로 여겨졌던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21

댓글 0 | 조회 697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21- 한류와 4차 산업혁명(1)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박상진의 한류 이야기”는 문화와 문명사적 테두리 안에서 정치,경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

댓글 0 | 조회 69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7BTS의 음악이 투쟁가처럼 등장 - BTS와 아미 현상(8)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적…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7 K-POP 등은 무역수지 흑자에도 기여

댓글 0 | 조회 68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7K-POP 등은 무역수지 흑자에도 기여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K-컬처가 우리 경제에 끼친 영향은 컬처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6

댓글 0 | 조회 67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6 ■K-POP에 이정표를 제시한 BTS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획일성의 사회에서 K-POP, K-드라마…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3

댓글 0 | 조회 669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33- 한류의 조건은 온고지신(溫故知新) : 소녀시대와 동살풀이장단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 엑소(EX…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4

댓글 0 | 조회 641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34- 허준이 교수의 방황했던 학창 시절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수학자 최고의 영예인 필즈상을 수상한…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

댓글 0 | 조회 637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8다양한 정체성에 대한 포용과 사랑 - BTS와 아미 현상(9)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각국의 정치적 사회…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0

댓글 0 | 조회 631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0- BTS와 아미 현상(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2013년 6월 13일 결성한 방탄소년단(BTS)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

댓글 0 | 조회 612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0‘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계속된다’ - BTS와 아미 현상(11)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이번 회에서는 데…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

댓글 0 | 조회 600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59‘BTS와 같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왔다’ - BTS와 아미 현상(10)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1…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35

댓글 0 | 조회 600
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지난 회에 이어서한국인 최초로 세계 최고의 필즈상을 수상한허준이 교수의 이야기를 이어가겠다.허준이 교수의 방황… 더보기
Now

현재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댓글 0 | 조회 596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62- 문화 융성의 길 - ‘온리 원(only one)’의 사고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요즈음 대통령 관저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8 - 변용과 융합의 새로운 ‘문화 현상’을 창조하는 BTS와 아미

댓글 0 | 조회 562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 前 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BTS의 팬덤 아미는 국가를 넘어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요즘 주변에서 보는 팬덤의 확장과 현상은 보통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0

댓글 0 | 조회 554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0- 이항대립(二項對立)을 넘어선 새로운 한류 창조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국악신문] 박상진(철학박…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_41

댓글 0 | 조회 552
[국악신문]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41- 제 8차 음악과교육과정이 한류음악의 장애물이 되지 말아야(1)박상진(철학박사,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명예교수,前한국동양예술학회 회장)이번 회에… 더보기
카테고리
Banner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