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세중과 전위예술(14) 민속악회 시나위 창립5주년 '민속악회 시나위 정기연주회(1973년)

동기관련 기사

홈 > 사진영상 > 동기관련 기사
동기관련 기사
 ※ 이용 안내
 - 이곳은 ROTC15기 동기들의 신문 잡지 기사 및 개인 블로그에 올린 글을 링크하는 곳입니다. 
 - 기사 내용 전문은 물론 제목과 URL만 입력하면 되는 매우 편리한 정보공유 페이지 입니다. 많은 애용 바랍니다.    


무세중과 전위예술(14)<BR> 민속악회 시나위 창립5주년 '민속악회 시나위 정기연주회(1973년)

1973..jpg


• 눈이 먼데다 귀까지 막히고 벙어리에다 다리병신까지 되어버렸어도 꿈틀거리며 살아있는 생명의 소리,


• 찢어지는듯 흐느끼나 잡아끄는듯 풀어나가며 거친대로 다듬어나간 슬기의 가락,


• 천길 폭포의 거센 줄기를 뚫고 거슬려 올라가는 잉어의 그것처럼 솟구치는 분노의 맥박,


• 호두가끼, 풀피리, 지게 다리 장단에 맞추어 닐니리 니리 닐니리 어기야 영차 비탄의 생활을 이기고 다지어 온 민족의 염원과 의지의 함수가 「시나위여라 멍들고 맺힌 가슴팍을 디디고, 극복한 영원한 추구적 삶의 가락을 꽃피웠으니 민중의 총화적 음률이 곧 시나위라 하겠다.


아무도 돌보는이 없이 짖어대기만 현실과 구제하기도 힘든 쇄잔한 국악현실을 과감히 극복하고 젊은 국악도 들의 깨어난 의지로 발족된 「민속악회 시나위」는 그간 7회의 공연을 통하여 전통적 민속악의 전승과 그를 바탕 으로 한 창작음악에 심혈을 기우려 온 점은 민족음악사에 길이 기록되어야 할 것이다.


아악이 마치 우리 음악의 전부인 것처럼 생각하거나 민속음악만이 전통적인 것이라고 편견하는 망령된 습성 들을 지양하여 도래될 민족음악의 정립을 이룩하는데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연주활동이 시급한 지점에서 민속 악회 시나위의 묵묵한 8회의 전진은 우리 모두 경하해 맞이하여야할 일대 경사인 것이다.(「시나위」고문, 서라벌예대 강사 김세중)

 

* 심우성씨와 함께 민속악회 창립을 도모함

출연자 : 최경만, 장덕화, 최태현, 김영재, 박범훈, 함석주, 김무경, 박미령, 김경희, 박정실 신상철, 홍옥미, 지명자, 백정순, 김광복, 박상진, 심애영, 박범순, 이금희, 김소연


때 : 1973년 9월 12일

곳 : 국립극장

 

 

 

0 Comments
Hot

인기 김정자 스승 10주기 추모기념공연, 제27회 양금연주회

| 댓글 0 | 조회 153
지난 21일 양금연주회가 주최하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제27회 양금연주회가 개최되었다. 양금연구회장 조유희(국립국악원 정악단 지도단원). (사진=김동국 기자) 지난 21일 양금연주회가 주최하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제27회 양금연주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연주회에서는 그동안 양금연구회를 위하여 많은 곡을 작곡한 박경훈 작곡가의 곡 중 두 대의 양금과 18… 더보기
Hot

인기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예술감독 유수정 임명

| 댓글 0 | 조회 126
국립민속국악원은 국악연주단 예술감독 유수정 국립민속국악원은 국악연주단 예술감독에 유수정 씨를 임명했다. 신임 예술감독 임기는 2024년 4월 23일부터 2년간이다.   유수정 신임 예술감독은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성악) 학사 및 동대학원 교육학석사(국악교육정책) 학위를 취득하였다. 또한 국립창극단 단원 및 예술감독으로 34년간 근무하면서 창극 ‘귀토, 절창… 더보기
Hot

인기 해외 한국문화원 10개소, ‘한글 문화상품 특별전’ 개최

| 댓글 0 | 조회 149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한글박물관, 한국교육문화재단은 이달부터 오는 10월까지 10개국* 해외 한국문화원에서 ‘한글 문화상품 특별전’을 개최한다.캐나다(4월), 튀르키에(5월), 독일·멕시코(6월), 베트남·필리핀(7월), 상해·인도(9월), 남아프리카공화국·스웨덴(10월) 올해로 3년째를 맞는 ‘한글 문화상품 특별전’은 한류의 근간인 한글에 대한 세계인의 … 더보기
Hot

인기 이승만/박정희 현창사업, 발상의 전환 필요하다

| 댓글 0 | 조회 105
이승만 대통령과 박정희 대통령 국민의 일치된 견해는 아니지만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승만은 ‘대한민국 건국과 산업화 기초 확립’, 박정희는 ‘대한민국 산업화의 완성’을 공로로 꼽을 것이다. 이 공(功)은 과(過)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가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해부터 ‘이승만박물관’과 ‘박정희박물관’ 건립에 대한 말들이 오가고 있다. 용산공원 확정시 ‘박정희… 더보기
Hot

인기 ‘국악진흥법', 어떻게 시행되나?’(1)

| 댓글 0 | 조회 184
대통령과 문체부장관에 대한 기대 2003년 헌법재판소는 민족문화 유산을 보존하는 것은 국가의 은혜적 시혜가 아니라 헌법상 의무라고 판시했다. 여기의 의무 조항은 바로 헌법 제9조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이다. 이를 토대로 20여 년 간 뜻있는 국악인들과 국회의원들의 노력으로 국악진흥법이 지난해 6월 30일 …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1

| 댓글 0 | 조회 134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한류문화 칼럼니스트)   최근 BTS를 배출한 하이브와 뉴진스를 배출한 어도어의 민희진 대표와의 갈등에 대한 소식이 연일 연예 문화 뉴스를 장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 하이브의 주가가 약 1조원 가까이 증발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어서 K-POP의 한류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보도되기도 하였다… 더보기
Hot

인기 이화장(梨花莊)

| 댓글 0 | 조회 103
정성구(전, 총신대학교총장) 실로 나는 35년 만에 을 다시 방문했다. 정월 초이튿 날 임원 몇 명과 함께 이승만 건국 대통령의 양자인 이인수 박사 내외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러 갔었다. 필자가 1987년에 이화장에 들어가서 예배를 인도할 때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여사와 이인수 박사 내외분과 함께였다. 그때 50대였던 이인수 박사도 어… 더보기
Hot

인기 카이퍼와 이승만(1) - '어학의 천재'

| 댓글 0 | 조회 108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학교 총장) 카이퍼와 이승만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카이퍼(A. Kuyper) 박사가 네덜란드의 수상직에서 물러나던 해인 1905년에 이승만은 조지 워싱턴 대학에 들어갔다. 두 분의 만남이 없을지라도 이승만은 프린스턴신학교 재학 시절에 간접적으로 카이퍼의 사상과 마주하게 된다. 당시 카이퍼는 네덜란드 ARP정당의 당수였는데 프린스턴신… 더보기
Hot

인기 카이퍼와 이승만(2) - '반공주의자'

| 댓글 0 | 조회 142
정성구 박사(전, 총신대학교 총장) 앞서 말하기를 카이퍼와 이승만은 서로가 아무 관련이 없다고 말했었다. 그런데도 이 두 분은 공통점이 있다. 첫째는 그 두 분은 당시에 최고의 지성과 학력을 가졌다는 것이고, 둘째는 나라가 거의 절망에 빠져있을 때, 나라를 건져서 새로운 세계를 향하도록 한 것이다. 셋째는 명연설가요, 명 설교가로서 민족을 깨우고 새로운 방… 더보기
Hot

인기 저널리스트 이승만과 아브라함 카이퍼

| 댓글 0 | 조회 129
정 성구 박사(전, 총신대학교 총장) 이승만과 카이퍼는 서로 다른 시대에 지구 반대편에서 일했지만, 여러모로 닮은 곳이 많다. 둘 다 대 정치가이고 저널리스트란 점에서 유사하다. 그리고 둘 다 처음부터 언론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신문을 발간하고, 대중 매체를 통해 국민을 깨우는 운동에 힘쓴 것이 엇비슷하다. 화란계 미국인 저자 반덴벍(Van den Ber…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2 <br>‘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9) - “악학궤범은 새로운 가치 창출”

| 댓글 0 | 조회 169
박상진(철학박사,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한류문화 칼럼니스트) 그동안 "시용향악보”의 ‘오음약보’와 ‘정간보’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 계속해서 고려가요의 음악적 특징으로 나타난 ‘하강종지’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겠다. ‘하강종지’에서 ‘하강(下降)’이라는 의미는 높은 음에서 2~3개의 음을 아래쪽으로 연결하는 형태를 말하며, ‘종지(終止)’는 악곡을 끝마치게… 더보기
Hot

인기 박상진의 한류 이야기 (83)<br>‘국악의 날’ 지정 – 악학궤범이 편찬된 9월 29일로

| 댓글 0 | 조회 112
그동안 ‘국악의 날 지정을 위한 제언’을 약 5개월에 걸쳐서 연재하였다. 그 내용은 한마디로 ‘악학궤범을 편찬한 날로 정하자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 몇 명의 국악인들이 국립국악원에서 공청회를 개최하였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여민락’이 기록된 날을 ‘국악의 날’로 정하자는 제안이 있었다고 한다. 그날은 6월 5일이라고 한다. 세종실록 권 116에 6월 … 더보기
Now

현재 무세중과 전위예술(14)<BR> 민속악회 시나위 창립5주년 '민속악회 시나위 정기연주회(1973년)

| 댓글 0 | 조회 57
• 눈이 먼데다 귀까지 막히고 벙어리에다 다리병신까지 되어버렸어도 꿈틀거리며 살아있는 생명의 소리,• 찢어지는듯 흐느끼나 잡아끄는듯 풀어나가며 거친대로 다듬어나간 슬기의 가락,• 천길 폭포의 거센 줄기를 뚫고 거슬려 올라가는 잉어의 그것처럼 솟구치는 분노의 맥박,• 호두가끼, 풀피리, 지게 다리 장단에 맞추어 닐니리 니리 닐니리 어기야 영차 비탄의 생활을 … 더보기
카테고리
Banner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